2024/07 29

삼복의 뜻과 유래

삼복의 뜻과 유래 / 이윤수. 삼복이란 단어는 삼(三)과 복(伏)이라는 두글자로 구성되며삼은 세번을 의미하며 복은 숨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이처럼 세번 숨다 라는 의미로 삼복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삼복은 한국의 특별한 기후 현상으로서 무더위가 세차례에 걸쳐 돌아오는 현상을 의미하며 초복 중복 말복을 삼복 또는 삼경일이라 합니다. 또한 복(伏)의 어원에 대해서는 뚜렸하게 알려진바 없는데서늘한 가을기운이 뜨거운 열기에 밀려 엎드려있다는 뜻으로 풀이하곤 하며. 음양 오행설로 보면 경(慶)은 금의 기운으로 가을을 상징하며이기운이 대지로 나오려다가 아직 불의기운이 강렬하기 때문에 일어서지 못하고 엎드려있는때 이고 그래서 복(伏)이라는 말을 쓴다는 것입니다. 삼복의 유래는 중국의 동국세시기 에서 진의 덕공..

좋은글 2024.07.10

절기 소서의 뜻과 관련속담.

소서의 뜻과 관련속담 / 이윤수. 소서는 24절기 중 열한번째 날로 하지와 대서 사이에있는 절기로 한자로 표현하면 작은 더위 라는 뜻으로 소서를 전후해서 한반도에는 장마전선이 머무르고이무렵 올라오는 태풍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내리고 소서 이후로 날씨가 점점 더워지기 시작합니다. 또한 이때에는 논과 밭의 잡초를 제거하고김매기 작업을 하는등 가을 보리를 베어낸 자리에콩이나 조 팥을 심어 이모작을 하기도하였다고 합니다. 소서는 그전에 모내기를 모두 마쳤어야 했으나 제때 모내기를 해야했던농촌에서는 이와 관련된 속담들이 전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 심는다.:새로 시집 온 색시도 모내기를 해야 할정도로 분주하다는 뜻입니다. 소서 모는 지나가는 행인도 달려든다.:소서 즈음은 지나가는 이도 ..

좋은글 2024.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