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883

절기 대서의 유래와 음식.

절기 대서 / 이윤수. 열두번째 절기인 대서의 유래는 중국의 특정 날짜에서 비롯 되었으며. 중국의 천문학 지식이 한국으로 전해지면서 대서라는 이름과 함께 전해 졌으며. 일년중 가장 더운 시기라는 뜻으로 하루 중 해가 가장높이 떠있는 12시보다는. 2시경에 지구의 온도가 가장 높다고하며 태양의 열기와 기운이 극치에 이르는 시기이며. 이번에는 장마기간 약 한달동안 내릴 장맛비가 몇일동안 전국을 덮치며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면서 곳곳에서. 인명 피해가 발생하며 산사태와 도로 침수등이 이어지는 극한호우 시대에 들어섰음을 나타내며. 잠시 장마 전선이 주춤하니 극심한 불볕더위로 곳곳에 폭염 경보가 발효 됐으며 해수욕장이나 강과 바다로 피서를 하며. 체온을 낮추고 식욕을 돋우며 영양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음식으로 메..

좋은글 2023.07.21

삼복 이란.

삼복 이란 / 이윤수. 삼복은 초복 중복 말복까지 더위를 삼복이라 부르며 이는 일년중 가장 더운 시기라고하며. 삼복은 중국 진나라때 부터 시작된 것으로 전해지며. 더위가 가장 기승을 부리는 여름의 기운에 세번 굴복한다 하여 삼복이라고 하며. 복날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가 양기에 눌려 엎드려있는 날이라는 뜻이며. 복날 경자가 들어간 날이된 이유는 경의 속성이 계절로 보면 가을을 의미하는 금의 기운이 있기때문에. 무더위를 가을의 시원한 기운으로 이겨내라는 조상님들의 지혜라 볼수있으며. 복날에는 시내나 강가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윈다하여 아무리 더워도 목욕을 하지않는 풍습이 있었으며. 삼복 더위에는 몸에 열이쌓여 체중조절이 중요하며 순분이 많은 수박 참외 복숭아 등을 먹고. 냉면 개장국 삼계탕같은 자양..

좋은글 2023.07.20

삼복의 유래와 삼계탕.

복날의 삼계탕 / 이윤수. 삼복은 일년중 가장 더운 시기로 삼복의 유래는 고대 중국 진나라때 부터 시작 되었다고 전해지며. 복날의 복은 엎드릴 복자로 더위에 힘들어 엎드려 지내는 날이라는 의미이며. 복날의 더위를 견디기 위해 기력 보충을 하자는 취지로 시작된것이 복날이라고 하며, 조선시대의 복날에 서민들은 개장국이라는 보신탕을 즐겨먹었고. 양반들은 개고기대신 쇠고기를 넣은 육계장을 즐겨 먹었다고 하며. 삼계탕의 원조격인 음식이라 할수있는 닭 백숙은 삼국시대부터 먹었으며. 인삼이나 약재를 넣고 삶은 방식이 생소할뿐 조선시대에도 엄연히 존재했으며. 삼계탕은 1960년대 이후 냉장고 보급으로 인삼의 장기보존이 가능해 지면서. 인삼 말린것을 넣는것으로 차츰 바뀌어 현재의 삼계탕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삼계탕은 어..

좋은글 2023.07.20

초복 날에 풍습과 음식.

초복 이란 / 이윤수. 초복은 삼복 중 첫번째 복으로 본격적인 더위의 시작을 예고하는날로 하지 이후부터 셋째 경일을 초복이라고 하며 초복 중복 말복까지 더위를 삼복더위라 부르고 일년중 가장 더운 시기라고 하며. 초복 날에는 더위를 이기기위해 어른들은 산간 계곡에 들어가 탁족을 하면서 더위를 피하기도 하며. 몸을 보양하기 위해 개장국 삼계탕같은 자양분이 많은 음식으로 몸을 보신하며. 질병을 예방한다하여 팥죽을 먹기도하며 장작불을 피워서 그연기를 마셨으며. 연기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더위를 이겨내는데 도움이 된다고 여겼으며. 초복 날에는 참외 수박을 먹으며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며 가볍게 식사를 하고. 몸을 보양하고 더위를 이기기위해 다양한 풍습이 지켜졌으며. 복날은 오래전 부터 지켜져온 우리나라 풍습으로 더..

좋은글 2023.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