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879

정월대보름의 유래와 역사.

정월 대보름의 유래와 역사 / 이윤수. 정월 대보름은 한국의 전통 명절중 하나이며 일년중 달이 가장밝고 둥글게 보이는 날로 상원이라고도 하며. 정월대보름의 유래는 기원과 관련된 전설중에 사금갑이 있으며 원전은 삼국유사 기이 제1편 소지왕 이야기입니다. 신라시대의 임금 소지왕(479~500)이 천천정에 행차하기 위해 궁을 나섰는데 갑자기 까마귀와 쥐가 시끄럽게 울었다. 쥐가 사람의 말로 왕에게 까마귀 가는곳을 따라가 보옵소서.하여 임금은 신하를 시켜 까마귀를 따라가게 했다 신하가 까마귀를 어느정도 따라가다가 어느연못에 다달랐을때 돼지 두마리가 싸움을 하고 있었다. 신기한 돼지싸움을 보다가 그만 까마귀를 놓쳐버린 신하가 당황한채 잠시 서성거리고 있었는데 잠시 후 연못에서 노인이 나와서 신하에게 편지봉투를 주..

좋은글 2024.02.22

정월대보름의 전통음식과 풍속.

정월대보름의 음식과 풍속 / 이윤수. 정월 대보름은 음력1월15일에 설 이후 처음 보름달이 떠오르는 날을 의미하며 달맞이 명절 또는 상원절 이라고 불리며. 정월 대보름에 먹는 음식들은 하나의 풍습과 상징적인것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선조들의 놀라운 지혜를 엿볼수 있습니다. 부럼깨기:땅콩 호두 밤등 단단한 견과루를 액운을 쫓고 부스럼 예방. 오곡밥:찹쌀 조 보리 수수 팥등 다섯가지 이상의 잡곡을 섞어 밥을 지어 먹음. 약밥:물에 불린 찹쌀을 시루에 찐뒤 꿀 설탕 참기름 대추등을 넣어 찐밥. 복쌈:김과 나물을 싸서 먹는 음식으로 한해의 복을 기원하는 음식. 귀밝이술:찬술을 마시는 관습으로 귓병을 막아주고 희망을 주기위한 술. 솔떡:솔잎을 깔고 떡을 쪄서 나누어 먹었습니다. 정월대보름날 한해동안 건강과 평안을 기..

좋은글 2024.02.22

절기 우수의 뜻과 풍습.

우수의 뜻과 풍습 / 이윤수. 우수는 24절기중 두번째로 입춘 다음에 오는 절기로 눈대신 비가내리고 강의 얼음이 녹아 물이되어 흐른다는 뜻과 우수(雨水)는 한자어로는 빗물 이라는 뜻으로. 우수는 겨울철 추위가 서서히 물러나고 봄이오는 것을 알리며 우수 경칩에는 대동강물도 풀린다는 속담이 있을정도로 겨울 추위의 끝과 봄의 시작을 상징합니다. 절기 우수의 풍습을 몇가지로 정리해 볼수 있는데요. 농가에서는 새해 농사 계획을 세우고 좋은 씨앗을 고릅니다. 우수날에 우물을 청소하고 새물을 길러 마셨습니다. 우수날에는 새끼닭이나 새끼돼지를 잡아먹는것을 피했습니다. 우수에는 산과 들에서 막 돋아니기 시작한 봄나물을 채취해서 먹었으며 오신채를 즐겨 먹었습니다. 우수에 장을 담그면 약40일이 지난 청명과 곡우쯤 된장을 ..

좋은글 2024.02.16

설날의 유래와 풍습.

설날의 유래와 풍습 / 이윤수. 설은 한해가 시작된는 첫날 음력 1월1일이며 설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새로운 날이 낯설다는 의미에서 어근 인 설다에서 온것으로 보는시각과. 설이란 사린다. 사간다. 에서 온말로 조심하다란 뜻도 있으며 설날을 조심하는 날이란 뜻의 신일 이라고해서 밖에나가는것을 삼가고 일년동안 아무탈없이 지낼수있게 해주기를 신에게 빌어왔다고하며. 설날의 유래와 뜻은 정확한 기록이없어 추정이 난무하고 다양합니다 한해가 시작된다는 뜻에서 매우 뜻깊은 명절로 여겨왔으며. 설날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세수를 하고 미리 마련한 새옷으로 갈아입는데 이새옷을 설빔 이라 하며. 아침에는 가족및 친지들이 모여 조상님께 차례를 지내고 차례는 모처럼 자손들이 모여 오붓하게 지낼수있는 기회이기도하며. 차례상에서 올린..

좋은글 2024.02.07

대명절인 설의 유래와 역사.

설의 유래와 역사 / 이윤수. 설이란 새해를 시작하는음력 1월1일을 말하며 설의 유래는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않고 있으며 다만 이에 관련한 몇가지 어원설이 있으며. 첫번째 주장은 낯선날 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며 새해가 시작되면서 익숙치않아 낯설다 의 어근 인 설다 에서 만들어졌다는 의미이며. 또한 시작하는 날에서 온 선날이 설날로 변했다는 내용이며 나이가 한살 더드는것을 의미하는 살날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자중하는 의미의 옛말 섦다.에서 왔다는 추정도있지만 명확한 답으로 보이지는 않으며. 설에 관련한 기록은 삼국시대부터 찾아볼수 있는데 삼국사기에는 백제261년에 설맞이 행사를 하였으며. 신라에에서는 651년 정월 초하룻날에 왕이 조원전에 나와 백관들의 새해 축하를 받았는데 이때부터 왕에게 새해를 축하하는 의례..

좋은글 2024.02.07

입춘의 유래와 입춘첩.

입춘에 입춘첩 / 이윤수. 입춘은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로서 봄이들어서는 날이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한자로는 정월절 세단 세절 등으로 부르고.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이자 봄을맞는 날이므로 형상에 맞는 축하 기원 등의 글을 쓰는데 이를 입춘축이라 하고 대문 기둥 대들보 천장 등에 붙인다고 하여 이를 입춘첩이라 부르며. 2024년 입춘의 정확한 절입 시간은 2월4일 17시 27분이며 입춘이 들어오는 시간에 글을써서 붙이면 더좋다고하며. 입춘첩을 붙이는것은 이를 통해 가정에 행복과 평안을 기원하는 의미이며 이러한 전통은 고대중국에서 시작되어 한국을 비롯한 동양 국가로 퍼졌으며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이 전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입춘을 맞이하여 큰복이 올것이라는 뜻이며.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고 자손은 만..

좋은글 2024.02.02

첫번째절기 입춘의 풍습과 속담.

입춘의 풍습과 속담 / 이윤수. 입춘이란 24절기 중 첫번째로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기를 알려주는 절기이며. 입춘은 음력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들어 재봉춘이라 하며. 음력으로 한해에 입춘이 두번들어 있으면 쌍춘년이라하여 그해에 결혼하는것이 길하다고 믿기도 했으며. 입춘은 한해의 시작으로 보았기때문에 모든게 다시 소생한다는 의미를 지니며. 입춘날에는 절입 시간에 맞춰 입춘대길 건양다경의 글귀를 주로 써서 대문앞이나 기둥에 붙이는데 이를 입춘첩 입춘방 등의 이름으로 불렀으며. 봄이 들어서는 날을 맞아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날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하는 의미의 풍습이며. 예로부터 입춘 추위에 관련한 속담중에. 입춘 추위에 김칫독 얼어 깨진다 이무렵 김장독이 깨질정도의 추위가 몰려온..

좋은글 2024.02.01